티스토리 뷰
경주는 역사적으로 알려진 서라벌의 먼 남동쪽 코너에 있는 해안 도시이며 경주는 안동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도시는 서쪽으로 청도와 영천 남쪽으로 울산 북쪽으로 포항과 접하고 동쪽으로 동해 연안이 접하고 있으며 태백산맥의 외곽에 있는 수많은 낮은 산들이 도시 곳곳에 흩어져 있으며 경주는 7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한반도 약 3분의 2를 통치했던 고대 왕국 신라의 수도였으며 후에 신라는 번영하고 부유한 나라였으며 수도인 경주는 네 번째로 큰 도시였으며 이 시대의 수많은 유적지와 문화재가 도시에 남아 있으며 경주는 흔히 벽 없는 박물관으로 불리며 이러한 역사적 보물 중 석굴암 불국사 경주 역사 유적 지구와 양동 민속 마을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경주시는 1995년 인근의 농촌인 경주군과 통합되어 지금은 도농 복합 단지이며 대한민국의 인구 30만 미만의 다른 53개 중소 도시와 비슷하며 오늘날 경주는 풍부한 역사적 유산과 더불어 현대 한국 문화를 형성한 경제적 인구학적 사회적 추세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관광업은 여전히 주요 동인이지만 울산 및 포항과 같은 주요 산업 중심지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제조 활동이 발전했으며 경주는 전국 철도 및 고속도로망과 연결되어 산업 및 관광 교통이 편리하며 경주는 과거나 현재나 학창 시절 수학여행의 매카이다.
불국사
불국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서쪽에 있는 한국불교 여섯 개를 포함한 사찰이며 신라의 동악인 토함산 서측 기슭에 위치하며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1995년 불국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작은 성전에서 지어진 것으로 기록이 남아 있는 불국사는 삼국유사의 현재 성전에서 제작된 것으로 김대성이 현세의 부모를 위해서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하며 불국사는 화랑으로 둘러싸인 사찰로 청운교 백운교의 계단으로 올라 지하문을 지나면 대웅전에 도달하게 되며 불국사 대웅전 전면의 동측에는 다보탑이 배치되어 있고 서측에는 석가탑이 배치되어 있고 대웅전 전면에는 팔각을 기본으로 한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불국사에 수많은 관광객들이 오는 이유가 다보탑과 석가탑을 보기 위해서입니다.
다보탑
다보여래의 유물이 있는 탑을 말하며 3층 탑의 높이는 10.29m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볼 수 없는 화려한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사용된 조각 기법은 그 시대의 독특하고 섬세한 특징을 포함하며 4면에 각각 계단이 있고 네 개의 돌로 된 네모난 기둥은 네모난 돌 난간이 세워진 탑의 첫 번째 지붕을 지지하며 난간 안쪽에는 탑의 본체가 있고 그 위에 팔각형 난간으로 둘러싸인 두 번째 팔각형 지붕 위에 서 있는 팔각형 돌기둥은 열여섯 개의 꽃잎이 새겨진 팔각형 연꽃석을 받치고 있으며 그 위에는 팔각형 지붕을 지지하는 8개의 돌기둥이 있고 계단 꼭대기를 지키고 있는 네 마리의 돌사자 중 한 마리만 남아 있습니다.
석가탑
석가탑은 더 정교한 형제 다보탑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탑은 매우 단순하고 기본적인 디자인이며 3층은 4:3:2 비율로 균형 안정감 대창 성을 주는 만족스러운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석가탑의 단순함과 다보탑의 복잡함의 대비는 부처님의 사색과 세상과의 분리의 이중성을 나타내기 위해 디자인되거나 천상계와 지상계를 상징하기도 하며 탑의 3개 층은 2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탑의 표면에 조각이나 부조가 없다는 사실은 탑의 단순함을 강화하며 그러나 탑은 8개의 연꽃 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다소 정교한 탑의 꼭대기는 석가탑보다 100년 뒤에 지어진 탑에 걸맞게 1973년에 추가되었으며 석가탑과 다보탑을 건설한 백제의 뛰어난 석공 아사달은 신라로 끌려왔고 이 석탑을 쌓을 동안 아내는 남편을 볼 수 없었다고 하며 이에 한 승려가 완공되면 연못에 비친 탑의 그림자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연못 표면에는 그림자가 보이지 않았으며 이에 아내는 아사달이 신라 공주와 결혼할 생각이었다는 소문을 듣고 아내는 그 연못에 몸을 던져 익사했다고 하며 아사달이 탑을 완성하고 연못에 도착했을 때 아내는 이미 죽어 있었고 눈물로 백제로 돌아가기 전에 바위에 아내의 모습을 새겼으며 그 후 석가탑은 연못에 그림자가 보이지 않아 무암 탑이라 이름 지었고 아사달의 아내가 익사한 연못은 그림자 못이라고 하였습니다.
대웅전
대웅전을 가운데 두고 석가탑과 다보탑이 있으며 대웅전은 불국사고금창기에 의하면 조선 세종 18년에 중수하였으며 성종 221년 명종 19년에 중수가 있었으나 선조 26년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었으며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동서가 약간 긴 장방형의 평면으로 단층 팔작 기와지붕이며 조선 후기의 다포계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대웅전의 외관은 중앙의 어칸을 협칸이나 퇴칸보다 배이상 넓은 주칸으로 꾸며졌으며 기단을 살펴보면 통일신라시대의 가구식 기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공포를 살펴보면 기둥 위뿐만 아니라 주간상에도 공포를 설치한 다포형식이며 대웅전은 창건 당시 기단과 석등 등의 석조물이 보존되어 있으며 내외부를 화려하게 장식한 우수한 불전으로 그 가치가 큽니다. 역사 여행을 하기 전에 사전 지식이 많을수록 좋은 것 같으며 불국사는 어디든 쳐다보면 국보가 있는 경주 유적지로 꼭 와볼 만한 도시이며 불국사 내에 화려한 색상을 수국을 보며 유명한 유적지 앞에서 인증숏을 남겨 보시기 바랍니다.
'국내 여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온천 관광지 및 효능 (1) | 2021.08.31 |
---|---|
부산 향토 음식으로 떠나는 여행 (0) | 2021.08.29 |
농촌 자원을 활용한 명소들 (0) | 2021.08.26 |
국내 테마파크 2, 롯데월드 (1) | 2021.08.26 |
국내 테마파크 1, 에버랜드 (0) | 2021.08.25 |